콜옵션(Call Option), 풋옵션(Put Option)이란? 용어정리
▲ 콜옵션이란? (Call Option)
옵션거래에서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이며, 풋옵션과 반대다.
선물은 미래의 상품가치를 보고 매매하는 거래라면, 옵션은 미래 일정 시점에 매매할 수 있는 '권리'다.
콜옵션은 가장 보편화된 일반적인 옵션이며, 구입할 수 있는 자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,
일반적으로 옵션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은 주식과 사채에 대한 옵션이다.
콜옵션을 매입한 사람은 옵션의 만기 내 약속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고,
매도한 사람은 매입한 사람에게 기초자산을 인도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.
또한 옵션은 선물과 달리 의무가 없으므로, 매입자는 해당 옵션을 매도한 사람에게 일정한 프리미엄를 지불한다.
조심해야 할 점은 옵션매도자의 손익은 현재 행사가격보다 낮을 경우 매입자가 권리행사를 포기하게 되므로
이미 지불받은 프리미엄만큼 이익이 발생하지만, 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에는 가격에 관계없이 기초자산을
행사가격으로 인도해야 하므로 가격상승 정도에 따라 큰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이다.
간단하게 설명하면 “콜옵션은 오를때 거래하는 것이고, 풋옵션은 내릴때 거래하는 것이다."라고 보면 된다.
옵션거래에서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이며, 풋옵션과 반대다.
선물은 미래의 상품가치를 보고 매매하는 거래라면, 옵션은 미래 일정 시점에 매매할 수 있는 '권리'다.
콜옵션은 가장 보편화된 일반적인 옵션이며, 구입할 수 있는 자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,
일반적으로 옵션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은 주식과 사채에 대한 옵션이다.
콜옵션을 매입한 사람은 옵션의 만기 내 약속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고,
매도한 사람은 매입한 사람에게 기초자산을 인도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.
또한 옵션은 선물과 달리 의무가 없으므로, 매입자는 해당 옵션을 매도한 사람에게 일정한 프리미엄를 지불한다.
조심해야 할 점은 옵션매도자의 손익은 현재 행사가격보다 낮을 경우 매입자가 권리행사를 포기하게 되므로
이미 지불받은 프리미엄만큼 이익이 발생하지만, 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에는 가격에 관계없이 기초자산을
행사가격으로 인도해야 하므로 가격상승 정도에 따라 큰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이다.
간단하게 설명하면 “콜옵션은 오를때 거래하는 것이고, 풋옵션은 내릴때 거래하는 것이다."라고 보면 된다.
▲ 풋옵션이란? (Put Option)
콜옵션과 반대로 옵션거래에서 미래 특정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다.
콜옵션과 반대로 옵션거래에서 미래 특정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다.
콜옵션이 저렴한 가격에 기초자산을 구입한다면, 풋옵션은 비싼 가격에 기초자산을 판다는 개념이다.
지금가격이 10,000원인 주식을 미래에 9,000원에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도하고, 이 옵션을 매수하는 가격을
1,000원(프리미엄)이라고 할 때, 풋옵션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1,000원의 프리미엄을 주고 이를 구매한다.
이후 약정한 시점에 주식 가격이 15,000원이 된다면, 매수인의 입장에서는 15,000원짜리를 9,000원에 팔면,
손해를 보게 되므로 프리미엄으로 지급한 금액만 손실을 보고 옵션을 포기할 수 있다.
반대로 가격이 5,000원으로 하락한다면, 매수인의 입장에서는 5,000원짜리를 9,000원에 팔아 프리미엄으로
지급한 금액을 제하고도 이익을 볼 수 있으므로 옵션을 행사한다.
따라서, 풋옵션은 가격이 하락하면 할수록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고, 주식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프리미엄만
포기하면 되므로 손해는 한정된다. 반대로 풋옵션 매도인의 입장에서는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되
매수인이 포기하는 프리미엄의 금액으로 한정되지만, 가격이 하락하면 무한정의 손해를 본다.
1,000원(프리미엄)이라고 할 때, 풋옵션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1,000원의 프리미엄을 주고 이를 구매한다.
이후 약정한 시점에 주식 가격이 15,000원이 된다면, 매수인의 입장에서는 15,000원짜리를 9,000원에 팔면,
손해를 보게 되므로 프리미엄으로 지급한 금액만 손실을 보고 옵션을 포기할 수 있다.
반대로 가격이 5,000원으로 하락한다면, 매수인의 입장에서는 5,000원짜리를 9,000원에 팔아 프리미엄으로
지급한 금액을 제하고도 이익을 볼 수 있으므로 옵션을 행사한다.
따라서, 풋옵션은 가격이 하락하면 할수록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고, 주식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프리미엄만
포기하면 되므로 손해는 한정된다. 반대로 풋옵션 매도인의 입장에서는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되
매수인이 포기하는 프리미엄의 금액으로 한정되지만, 가격이 하락하면 무한정의 손해를 본다.
'Derivatives Gui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생상품] ELW란? ELW의 정의와 특성 알아보기 (10) | 2011.09.02 |
---|---|
선물(Fufures)의 의미 (선물, 선물시장, 선물거래, 선물만기일) (4) | 2011.09.02 |
콜옵션(Call Option), 풋옵션(Put Option)이란? 용어정리 (6) | 2011.09.02 |
[파생상품] 옵션의 레이시오 전략이란? 매매 유의사항 알아보기 (6) | 2011.09.02 |
주가지수 선물의 이해와 미결재약정 증감으로 장세 예측하기 (4) | 2011.09.02 |
주가지수 선물의 거래 방법/구조, 매매중단제도 개념 이해 (4) | 2011.09.02 |